본문 바로가기
건강

배드민턴 서비스 경기 규칙 과 경기장 규격에 대한 정리

by MinervaG 2020. 4. 25.

가볍게 즐길 수 있는 배드민턴이지만, 막상 즐기다 보면 다양한 규칙 ()과 경기장 규격 등에 관심이 자연스럽게 생깁니다. 경기장 최소 천장 높이가 정해져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시나요? 세계배드민턴연맹(BWF)에서 주요 경기대회인 올림픽이나, 세계 선수권 대회 등의 경우 천장 높이를 12미터 약 39피트로 정하고 있습니다. 재미있는 국민 스포츠, 배드민턴 경기에 있어서 기본적인 규칙 ()과 경기장 규격 일부에 대해서 정리해 놓고자 합니다.

 

<a href="https://www.freepik.com/free-photos-vectors/background">Background photo created by freepik - www.freepik.com</a>

 

경기 규칙 () 중 가장 궁금한 부분이 서비스 (서브)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대한배드민턴협회에서는 다음과 같이 서비스에 대해 규정하고 있습니다.

 

-. 서버와 리시버는 양편 서비스 코트 안에 대각선으로 서야 합니다.

-. 서비스 시,셔틀이 라켓과 접촉하는 순간에 셔틀의 전체가 서버의 허리보다 밑에 있어야 합니다. 여기서 표기된 허리는 대략 서버의 마지막 갈비뼈 부분의 위치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 서비스 시 셔틀을 치는 순간에는 라켓의 샤프트가 아래쪽 방향을 향하고 있어야 합니다.

-. 경기규정 9.2 , 9.3에서 서버의 라켓의 움직임은 서비스가 시작되고부터 서비스가 넘어갈 때까지 앞으로 향하는 움직임이 계속되어야 합니다.

-. 마지막으로 당연하겠지만, 셔틀은 리시버의 코트 안에 들어가야 합니다.

 

위에서 가장 애매한 부분은 서비스 시 라켓의 샤프트가 허리 어디까지 와야 하는 것인가의 의문 점입니다. 다양한 YouTube 경기 영상을 보아도 정말 이렇게까지 높아도 되는 것인가 싶을 정도의 프로 경기도 있기 때문에, 정말 마지막 갈비뼈 부분의 가상 위치로 생각하고 샤프트는 아래쪽 방향을 지키면 될 것 같습니다. 경기를 함께하는 동료와 해당 위치 서로 확인하면서 진행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다음은 서브권과 코트 선택권 중 하나를 선택하는 방법입니다. 토스라고 표현하며, 이긴 편이 서브권 또는 코트 둘 중에 하나를 선택하게 되며, 진 편이 나머지를 선택하게 됩니다.

 

경기는 단식과 복식이 있으며, Singles, Doubles으로 표기하게 됩니다.

 

서비스 코트 에러, service court errors라고 불리는 항목이 있습니다. 만약 서브의 순서가 잘 못 된 경우, 리시브의 순서가 잘 못 된 경우, 서비스 코트를 잘 못 선택한 경우 등, 해당 에러가 발견되면 점수는 유지된 상태에서 다시 진행하게 됩니다.

 

폴트, falut 항목 중 동일 선수에게 연속적으로 셔틀이 닿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한 번의 스트로크에서 라켓의 헤드와 스트링 부분에 동시에 닿을 경우 폴트가 아니라는 규정이 있습니다.

 

반칙, Foul에는 다음과 사항이 있습니다. 서비스가 올바르지 못한 경우와, 서버가 서비스 시도 중 셔틀을 못 치고 헛스윙했을 때가 있습니다. 그리고 라켓이 네트나 포스트에 닿을 경우, 셔틀이 네트를 넘어오기 전에 셔틀을 치는 경우가 반칙에 해당됩니다. 당연히 셔틀을 연속적으로 두 번 이상 치면 반칙입니다.

 

, Lets는 경기를 정지하기 위해 선언되는 항목입니다. 렛이 선언이 되면 해당 서비스에서의 경기는 무효가 되고, 마지막 서브한 선수가 다시 서비스를 진행하게 됩니다.

 

점수는 이미 많은 자료가 있지만, 기본적으로 3게임을 원칙으로 하고, 한게임 21점으로 합니다. 초등부의 경우 17점으로 하며 2게임 먼저 우승한 팀이 승리합니다. 20:20 동점의 경우 2점을 연속하여 득점한 편이 승리합니다. 만약 29:29까지 도달한 경우에는 30점을 먼저 획득한 팀이 승리하게 됩니다. 해당 내용에 대해 초등부의 경우 16:16에서 2점 연속 획득 시 승리하며, 24:24까지 진행된 경우에는 25점에 먼저 도달한 팀이 승리하게 됩니다.

 

반응형

댓글


TOP